목차

- ARP 프로토콜

- ARP 프로토콜의 통신 과정

- ARP 테이블

- 실습

 

ARP 프로토콜

- ARP가 하는 일

    -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

 

- ARP 프로토콜의 구조

    -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알아오는 ARP 프로토콜

예외없이, Hardware type에는 0 0 0 1, Protocol type에는 0 8 0 0, Home Address Length에는 0 6, Protocol Address Length에는 0 4가 들어감

    - Opcode: 질문인지 응답인지 정보가 담겨 있음

 

- ARP 프로토콜을 활용한 통신

    1. Eth | ARP 요청

        - 목적지 MAC주소를 몰라서 ARP로 알아오려는 것인데, 목적지 MAC 주소가 필요한 Ethernet을 어떻게 앞에 붙이는가?

        -> Opcode = 1로 두고 출발지 MAC주소와 출발지 IP 주소를 채워넣음

        -> 목적지 MAC 주소는 비워두고, 목적지 IP 주소만 채워넣음

        -> Ethernet 프로토콜 인캡슐레이션: 목적지 MAC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ff로 채워넣음 =>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됨: 같은 대역에 있는 모두에게 보낸다 (목적지 MAC주소를 누가 갖고있는지 모르니까)

    2. 목적지 IP 주소가 일치 안하는 애들은 Packet을 버림, 목적지 IP 주소가 일치하는 애는 응답 프로토콜을 보냄 (출발지, 자기 IP주소를 적어서) - 이때는 목적지 MAC주소를 알고 있음

    3. 해당 IP 주소를 ARP 캐시테이블에 등록 (OO IP 주소를 쓰는 애는, ~~ MAC 주소를 갖고 있구나)

    4. 이후 통신 가능 (이 과정을 한번 거쳐야만 통신이 가능하다)

 

ARP 테이블

: 나와 통신했던 컴퓨터들의 주소가 남는다.

- arp -a 명령어로 확인 가능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