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영상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9nlT52SAcg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4
모델의 종류
- TCP/IP 모델
- OSI 7 Layer 모델
TCP/IP 모델
현재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 규약(프로토콜) 모음
1계층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2계층: 네트워크
3계층: 전송
4계층: 응용
OSI 7 Layer - 더 중요
1984년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
1계층: 물리
2계층: 데이터 링크 - 이더넷
3계층: 네트워크 - IP, ICMP, ARP
4계층: 전송 - TCP, UDP
5계층: 세션
6계층: 표현
7계층: 응용 - HTTP
두 모델 비교
공통점
-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
- 계층간 역할 정의
차이점
- 계층의 수 차이
- OSI 역할 기반, TCP/IP는 프로토콜 기반
-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
- TCP/IP는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
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, 패킷
패킷이란?
-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
-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
- 패킷은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지며, 사용자 데이터는 페이로드라고도 한다
- 패킷은 프로토콜들의 모음: 프로토콜들이 여러 겹으로 포장되어 있는 구조로 생각하자
구조
- header | payload | footer (대부분 footer는 사용 x)
- ex
- Ethernet | IPv4 | TCP | HTTP (여러 프로토콜로 캡슐화된 형태)
- ex
* 하위계층보다 상위 계층이 위에 오는 경우는 없다.
데이터를 받을 때: 안에 들어있는 양식대로(순서대로) 하나씩 확인 (디캡슐레이션)
PDU: 계층별 패킷의 이름 (계층별로 이름이 다르다)
4계층의 PDU = 세그먼트: TCP | 데이터
3계층의 PDU = 패킷: IPv4 | TCP | 데이터
2계층의 PDU = 프레임: 이더넷 | IPv4 | TCP | 데이터
실습
1. 프로토콜의 캡슐화된 모습과 계층별 프로토콜들을 확인해보기
- Wireshark를 이용해 패킷을 캡쳐해보고 해당 패킷이 어떻게 캡슐화 되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.
-> 이더넷은 footer 사용
'Computer Science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따라學IT] 06.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(0) | 2022.07.10 |
---|---|
[따라學IT] 05.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- 이론 (0) | 2022.07.09 |
[따라學IT] 04.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(0) | 2022.06.29 |
[따라學IT] 03.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(0) | 2022.06.26 |
[따라學IT] 01.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(0) | 2022.06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