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를 생성하고, 로컬 노트북으로 접근하는 법
1. EC2 인스턴스 생성

2. 탄력적 IP 할당
- 탄력적 IP 생성
-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할당

3. pair key 생성
4. ssh configuration 설정

5. VS Code 연결

'Data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] Ch2. 빅데이터의 탐색 (0) | 2025.03.12 |
---|---|
[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] Ch1. 빅데이터의 기초 지식 (2) | 2025.02.25 |
Hadoop Ecosystem Explained (0) | 2024.08.04 |
[12주차] Airflow, EMR 스터디 (0) | 2022.05.08 |
[AWS] Ubuntu EC2에서 python3 version 변경하기 (0) | 2022.04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