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영상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3MkI3FBFzX8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19 

목차

- UDP 프로토콜

-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

- 실습

 

 

UDP 프로토콜이란?

-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(User Datagram Protocol)은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(Universal Datagram Protocol)이라고 일컫기도 한다.

- UDP의 전송방식은 너무 단순해서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고, 데이터그램 도착 순서가 바뀌거나, 중복되거나, 심지어는 통보없이 누락시키기도 한다.

- UDP는 일반적으로 오류의 검사와 수정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에서 수행할 것으로 가정한다.

 

UDP 프로토콜의 구조

- 안전한 연결을 지향하지 않는 UDP 프로토콜

출발지 포트 번호, 도착지 포트 번호만 있으면 된다

 

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

- DNS 서버: 도메인을 물으면 IP를 알려줌

- tftp 서버: UDP로 파일 공유

- RIP 프로토콜: 라우팅 정보를 공유

 

실습: tftpd로 파일 전송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5Woau-EJChw&list=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&index=20 

1. Windows 7은 서버 => 서버용 세팅

2. Windows XP는 클라이언트 => 클라이언트용 세팅

3. tftpd가 사용하는 포트번호는 69

4. Remote File: 서버쪽에서 생성한 파일 이름

 

파일 전송을 UDP로 하면 좋을까?

- 큰 파일은 UDP로 전송하지 않는다 (파일이 깨져도 복구 불가)

- UDP를 사용한 파일 전송은 특수한 경우 (ex. 동영상 스트리밍)

    - 1초에 수십만 데이터를 빠르게 보내줌

    - 중간에 프레임 하나가 깨져도 크게 중요 X

 

UDP 전송 패킷 캡처 (by Wireshark)

- 가상머신과 내 컴퓨터는 VMnet8로 연결 (로컬 네트워크 연결이 아니다)

- 로컬 영역 연결을 캡처하면, 패킷 캡처가 안 뜰 것이다. (VMNet8로 선택해야 함)

- 패킷 캡처

출발 포트(XP 클라이언트 포트): 1046, 도착 포트 (서버 포트): 69

+ Recent posts